맨위로가기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는 일본이 개발한 무인 우주 화물 수송선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보급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1988년 우주 기지 협력 협정 체결 이후, 1995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2009년 HTV-1 기술 실증기 발사를 시작으로 총 9번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HTV는 가압부와 비가압부로 구성되며, 다양한 물품 수송이 가능하도록 모듈 설계를 채택했다. 2021년 현재, HTV의 후속 기종인 HTV-X가 개발 중에 있으며, 비용 절감과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물 우주선 - 스페이스X 드래곤
    스페이스X 드래곤은 스페이스X가 개발한 재사용 가능한 우주 캡슐로, 국제우주정거장 화물 수송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유인 수송용 크루 드래곤과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 보급용 드래곤 XL 등 다양한 모델로 발전하여 팰컨 9 로켓으로 발사, NASA와의 협력으로 ISS 보급 및 유인 우주 비행에 기여하고 있다.
  • 화물 우주선 - ATV (우주선)
    ATV (자동 수송선)는 유럽 우주국이 개발한 무인 우주선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에 화물, 연료 등을 수송하고 고도 유지 및 폐기물 처분에 기여했으며, 5기가 발사된 후 2014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 - HTV-1
    HTV-1은 H-IIB 로켓으로 발사되어 국제우주정거장 보급 임무를 수행하고 랑데부 비행 기술 등을 검증하며 일본의 우주 개발 기술 발전에 기여한 우주선이다.
  •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 - HTV-2
    HTV-2는 HTV 기술 실증기의 운용을 바탕으로 제작된 일본의 국제 우주 정거장 보급기 2호기로, 2011년 1월 발사되어 국제우주정거장에 화물을 수송하고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며 임무를 완수했다.
  • 국제우주정거장 보급선 - 스페이스X 드래곤 2
    스페이스X 드래곤 2는 유인 및 화물 운송을 위해 스페이스X가 개발한 재사용 가능한 우주 캡슐로, 승무원 수송용 크루 드래곤과 화물 운송용 카고 드래곤의 두 가지 모델이 있으며, NASA 상업 승무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ISS 보급에 사용되고 궤도 이탈 우주선 같은 추가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국제우주정거장 보급선 - 스페이스X 드래곤
    스페이스X 드래곤은 스페이스X가 개발한 재사용 가능한 우주 캡슐로, 국제우주정거장 화물 수송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유인 수송용 크루 드래곤과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 보급용 드래곤 XL 등 다양한 모델로 발전하여 팰컨 9 로켓으로 발사, NASA와의 협력으로 ISS 보급 및 유인 우주 비행에 기여하고 있다.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
개요
H-II 수송선 (HTV-1)이 ISS에 접근하는 모습
H-II 수송선 (HTV-1)이 ISS에 접근하는 모습
국가일본
운영 기관JAXA
용도ISS 보급
우주선 종류무인 화물 우주선
상태퇴역
건조 대수9대
발사 횟수9회
최초 발사2009년 9월 10일 (HTV-1)
마지막 발사2020년 5월 20일 (고노토리 9호기)
파생형HTV-X
제원
부피가압: ""
길이~ (추진 장치 포함)
수송 능력
목적지ISS
명칭

2. 개발 배경

1988년 일본, 캐나다, 미국, 유럽 우주국(ESA) 회원국 정부 간 우주 기지 협력 협정(IGA)이 체결되었다.[44] 1993년 러시아 연방이 참여하면서 1994년 현재의 국제 우주 정거장(ISS) 계획이 구체화되었다.[44] 1994년 7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우주 정거장 보급 방식을 변경하여, 각 파트너 국가가 자체적인 수송 능력을 제공하도록 제안했다.[44]

이에 따라 일본의 우주 개발 사업단(NASDA)은 1995년 우주 정거장 보급기 개념 설계를 시작했고, 1997년 HTV 개발에 착수했다.[44] 1998년 2월 24일 체결된 우주 기지 양해 각서(MOU)를 통해 일본의 ISS 보급 임무가 국제적으로 확정되었다.[44]

2003년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참사 이후, 우주왕복선 퇴역이 가속화되면서 HTV를 포함한 무인 우주 보급선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NASA는 초기에 일본이 제안한 완전 자동 랑데부 방식에 대해 난색을 표하며 거절하기도 했다.[45]

당초 HTV는 H-IIA 로켓에 액체 로켓 부스터(LRB)를 추가한 형태로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경제성, 확실성, 수송 능력 등을 고려하여 H-IIB 로켓 개발로 변경되었다. 또한 개발 비용 절감을 위해 가압 물품과 비가압 물품을 모두 탑재하는 "혼재형"으로 개발되었다.[7]

한편, 일본에서는 HTV 이전에 재사용형 우주 왕복기인 HOPE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으나, 재사용형보다 일회용인 HTV가 비용 효과가 뛰어나다는 이유로 HOPE 개발은 동결되었다.[46]

우주 정거장과 도킹하는 HTV의 당시 예상도.

2. 1. 개발 비용

기술 실증기 건조비 약 200억을 포함한 총 개발비는 6770억이며, 2호기 이후 1기당 건조비는 약 140억이다.

2. 2. 애칭

1호기 HTV 기술 실증기에는 오오스미나 하야부사와 같은 다른 국산 우주선에 붙는 애칭이 붙지 않았다. 이는 보급기를 재사용하지 않고 일회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이었다.[47] 2호기 이후에는 친근함을 더하기 위해 2010년 8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 애칭을 공모했고, 같은 해 11월 11일에 "고노토리"라는 애칭이 발표되었다.[48] "고노토리(こうのとり|황새일본어)"라는 이름이 선정된 이유는 아기나 행복과 같이 소중한 것을 운반하는 황새의 이미지가 HTV의 임무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이었다.[48] 애칭 결정 후, 기술 실증기를 편의상 "고노토리 1호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효 응모는 총 17,026건, "고노토리" 제안은 217건이었으며,[48] 제안자에게는 인증서·기념품을 특전으로 전달했고, 추첨을 통해 선정된 6개 조가 2호기부터 7호기까지 매번 1개 조씩, 명명자의 대표로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를 지켜보았다.

3. 구성

HTV는 모듈식 설계를 채택하여, 크게 보급 캐리어와 전기·추진 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설계는 다양한 수송 수요에 대응하고, 미래 유인 우주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7] HTV는 약 120만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사 시 발생하는 가속 압력과 진동을 견딜 수 있다.[41]

HTV의 구성


HTV의 크기는 한쪽 끝에 기동 추진기를 포함하여 길이가 약 9.8m, 직경은 4.4m이다. 빈 상태의 질량은 10500kg이며, 최대 6000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어 최대 발사 중량은 16500kg이다.[5]

HTV는 로스코스모스프로그레스, 유럽 우주국(ESA)의 ATV, 스페이스X화물 드래곤, 시그너스와 유사하게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물품을 보급한다. ATV와 비교하면 HTV는 두 배 이상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지만, 발사 빈도는 절반 정도이다. HTV는 자동 도킹을 사용하는 프로그레스, 화물 드래곤 2, ATV와 달리, 캐나다 암 2를 이용하여 하모니 모듈의 정박 포트에 정박한다.[6]

HTV는 ISS에 정박된 후 로봇 팔로 접근 가능한 외부 페이로드 베이를 갖추고 있다. 새로운 페이로드는 HTV에서 ''키보''의 노출된 시설로 직접 옮길 수 있다. 내부에 총 8개의 국제 표준 페이로드 랙(ISPR)을 설치할 수 있으며, 승무원은 셔츠 소매 환경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다. 2011년 NASA의 우주 왕복선 퇴역 이후, HTV는 ISPR을 ISS로 운송할 수 있는 유일한 우주선이 되었다. 스페이스X 드래곤과 노스롭 그러먼의 시그너스는 화물 가방은 운반할 수 있지만, ISPR은 운반할 수 없다.

HTV는 궤도 기동 및 자세 제어를 위해 4개의 500-N급 주 추진기와 28개의 110-N급 자세 제어 추진기를 갖추고 있다. 이들은 모노메틸하이드라진(MMH)을 연료로, 혼합 질소 산화물(MON3)을 산화제로 사용한다.[8] 초기 HTV는 에어로젯의 추진기를 사용했지만, 이후 일본 IHI 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한 추진기로 교체되었다.[9] HTV는 약 2400kg의 추진제를 4개의 탱크에 싣는다.[8]

HTV는 임무를 마친 후 폐기물을 싣고 정박이 해제되며, 궤도를 이탈하여 재진입 과정에서 파괴된다. 잔해는 태평양으로 떨어진다.[10]

3. 1. 안전성

HTV는 우주 공간에서의 유인 사용에 대비하여, 일반적인 인공위성이나 로켓과 달리 고장이나 오조작이 1개 발생해도 임무가 지속 가능한 1 페일 오퍼레이티브(Fail operative), 고장이나 오조작이 2개 발생해도 유인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2 페일세이프(Fail safe)의 내고장 설계를 하고 있다. 이는 "키보"와 같은 설계 사상이지만, HTV 고유의 안전 설계도 이루어져 있다. 각 개발 단계(기본 설계 단계・페이즈 1, 상세 설계 단계・페이즈 2, 시스템 시험 후 평가 단계・페이즈 3)마다 제조사 안전 심사, JAXA 안전 심사를 받고, NASA 안전 심사는 총 6회 받는다.[108]

또한, HTV가 ISS에 접근하는 단계에서 긴급 사태가 발생하면, ISS 탑승원이 HTV 운용에 관한 긴급 명령을 보낼 수 있는 HTV 전용 명령 단말(HCP: 하드웨어 커맨드 패널)이 있다. 지상에서 사태를 파악하고 지원하는 것이 늦어지더라도, 탑승원이 단말을 사용하여 긴급 조작을 할 수 있다. 이 단말은 6호기까지 사용되었고, 7호기 이후의 긴급 조작 단말은 NASA의 ISS 탑재 휴대용 컴퓨터(PCS)로 변경되었다.[49][50]

3. 2. 보급 캐리어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물자를 보급하고, ISS에서 불필요한 물품을 싣고 나와 대기권에 진입하여 소각하는 역할을 하는 구획이다. 가압부와 비가압부로 구성된다. 개발 초기에는 비가압부 없이 가압부를 크게 한 구성이나, 가압부 없이 비가압부만 있는 구성도 제시되었으나, 실제로 이러한 구성을 사용할지는 미정이다.

HTV는 다양한 수송 수요에 대응하고 미래에 유인 우주선 등으로 발전하기 쉽도록 모듈식 설계를 채택했다. 초기에는 가압 단형, 가압 장형, 가압·비가압 혼재형의 3가지가 고려되었으나, 개발비 절감을 위해 가압/비가압 물품을 모두 탑재하는 "혼재형"만 개발되었다.[108]

보급 캐리어는 크게 가압부와 비가압부로 구성되며, 현재 운용되는 혼재형은 이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다.

3. 2. 1. 가압부

가압부 내부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선내 보급품을 탑재하는 구획이다. 국제 표준 실험 랙(ISPR) 또는 HTV 보급 랙(HRR)을 총 8개 탑재할 수 있다. HRR은 음료수, 식량, 의류 등을 수송할 때 사용하는 랙으로, 물품은 물품 수송용 가방(Cargo Transfer Bag:CTB)이라고 불리는 ISS 표준 가방에 담겨 HRR에 보관된다.

5호기부터는 가압부 바닥면의 공간을 활용한 새로운 보급 랙(HRR Type-D)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51] 탑재 가능한 CTB의 수는 다음과 같이 증가했다.

호기표준 크기 CTB 개수
초호기208개
2호기230개
5호기242개[51]
6호기 이후248개[103]



레이트 액세스(발사 직전 적재) 기능도 강화되었다. 레이트 액세스는 발사 10일 전부터 80시간 전까지 화물을 적재하는 것을 말한다. 레이트 액세스로 탑재 가능한 CTB 수도 다음과 같이 증가했다.

호기표준 크기 CTB 개수
초호기4개
2호기30개
3호기80개
5호기 이후92개[103]



4호기 이후에는 표준 크기 CTB의 약 4배 크기인 M02 가방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고, 5호기부터는 가방에 탑재 가능한 질량도 이전의 20kg에서 70kg으로 늘어났다.[103]

수송할 물품은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무게와 치수를 측정한다. 치수가 규정치를 벗어나면 소유자에게 규정치 안으로 넣도록 요청하며, 너무 작으면 스페이서를 넣어 고정한다.[52] 이러한 탑재 물품은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의 무게 중심이 규정 범위 안에 들어가도록 탑재 레이아웃 계산에 기초하여 배치된다.[52]

보급품은 ISS 승무원이 꺼내기 때문에, 내부는 ISS와 같은 1기압 환경으로 유지되며, 단독 비행 중에도 기온은 일정하게 제어된다.[51] ISS를 떠날 때에는 ISS의 불필요한 물품(사용 완료된 랙 등)을 싣고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와 함께 대기권에 진입하여 폐기된다.

보급 캐리어 가압부는 HTV와 ISS의 결합부이기도 하다. 선단 부분에는 공통 결합 기구(CBM)를 장착하여 ISS의 모듈에 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TV는 하모니 (노드 2)의 지구 측 결합부에 연결된다.[103]

키보에서는 공기 순환용 팬으로 해외 제조사 제품을 사용했지만, HTV에서는 초호기부터 국산 저소음 팬을 사용하고 있다.[108]

3. 2. 2. 비가압부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선외 우주 공간에 설치되는 재료 노출 실험 장치나 예비 부품을 탑재하는 구획이다. 과거의 우주선에서는 실적이 없는 2.7m × 2.5m라는 대형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 노출 팔레트를 수납할 수 있다. 노출 팔레트(Exposed Pallet: EP)는 키보 선외 실험 플랫폼 계류 전용형과 다목적 노출 팔레트형의 2가지 타입이 준비되어 있다.[103] 비가압부의 탑재 능력은 5호기까지는 1.2ton이었지만, 6호기부터는 ISS용 신형 리튬 이온 배터리 6대를 한 번에 발사하기 위해 탑재 능력이 1.9ton(화물 탑재용 선반 구조의 질량 포함)으로 증강되었다.[103]

캐나다 암 2가 HTV-2에서 비가압 페이로드를 제거하는 모습

  • "키보" 선외 실험 플랫폼 계류 전용형(I형): 키보의 선외 실험 플랫폼(EF)에 부착하는 노출 실험 장치를 2~3개 탑재한다. HTV가 ISS에 연결되면, 팔레트는 캐나다 암 2로 파지되어 보급 캐리어 비가압부에서 꺼내어지고, 키보의 로봇 암(JEMRMS)에 인계된 후 EF의 선단에 임시로 놓인다. HTV 기술 실증기에서는 이 타입이 사용되었으며, 일본과 미국의 노출 실험 장치 2개를 탑재했다. HTV 2호기에서도 이 I형이 사용되어 미국의 노출 장비 2대를 운반했다.
  • 다목적 노출 팔레트형(EP-MP형): 캐나다 암 2에 의해 꺼내진 후, ISS 트러스상의 모바일 베이스 시스템(Mobile Base System: MBS)에 임시로 놓는 타입과, I형과 마찬가지로 EF에 임시로 놓는 타입의 2가지가 있다. 궤도상 교환 유닛(ORU)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ISS의 배터리 ORU의 경우에는 6개를 탑재할 수 있다. EP-MP형은 HTV 3호기부터 사용된다.

3. 3. 전기 모듈

유도 제어계, 전력 공급계, 통신 데이터 처리계, 통신계의 전자 기기를 탑재한다. 태양 전지패들형이 아니라 전기 모듈이나 보급 캐리어의 외면에 설치된다. 이는 HTV가 프로그레스나 ATV와 같은 자동 도킹이 아니라, 공통 결합 기구(CBM)를 사용한 접속이기 때문에, 캐나다 암 2에 의해 파지(캡처)하려면 패들이 있으면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103] 그러나 HTV와 같은 결합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의 상업 보급기 드래곤시그너스는 태양 전지 패들을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설계에 따라서는 어느 쪽이든 가능하다.

태양 전지 패널은 '고노토리'의 외벽에 4호기에서는 55장, 5호기에서 49장, 6호기와 7호기는 48장 탑재되었다. 6호기 이후에는 보급 캐리어 가압부 외벽에 20장, 비가압부 외벽에 20장, 전기 모듈 외벽에 8장, 추진 모듈 외벽에 0장(초호기에서는 6장 있었으며, 단계적으로 줄여 6호기 이후에는 0장이 되었다)이 설치되었다.[103]

3. 4. 추진 모듈

HTV는 자세 제어, 궤도 기동 및 재진입과 같은 궤도 변환을 위해 추진 장치를 갖추고 있다. 추진 장치는 4개의 500-N급 주 추진기와 28개의 110-N급 자세 제어 추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모노메틸하이드라진(MMH)을 연료로, 혼합 질소 산화물(MON3)을 산화제로 사용하는 쌍추진제를 사용한다.[8]

HTV-1, HTV-2 및 HTV-4는 에어로젯사의 110 N R-1E와 500 N급 엔진을 사용했는데, 이는 우주 왕복선의 버니어 엔진과 아폴로 우주선의 R-4D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8] 이후 HTV는 일본 IHI 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한 500 N급 HBT-5 추진기와 120 N급 HBT-1 추진기를 사용한다.[9] HTV는 약 2400kg의 추진제를 4개의 탱크에 싣는다.[8]

IHI 에어로스페이스의 국산 엔진으로 교체되면서, 3호기, 5호기 이후부터는 기존 엔진과 특성이 달라짐에 따라 고노토리의 국제 우주 정거장(ISS) 접근 운용이 다소 변경되었고, NASA의 안전 심사를 다시 받았다.[56]

3. 5. 페어링

HTV 발사 시에는 전용 5S-H형 페어링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5S형 페어링보다 전장이 길고, 상부에 1.4m 사방의 해치가 있어, HTV를 페어링에 수납한 후에도 보급 캐리어에 접근하여 탑재된 시료나 신선 식품 등을 발사 직전에도 반입할 수 있다(레이트 액세스).[10] 레이트 액세스로 탑재할 수 있는 CTB의 수는 5호기에서 92개까지 증가하여, 타국의 수송선과 비교해도 HTV가 최대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10]

4. 운용

HTV의 운용 관제는 쓰쿠바 우주 센터의 우주 스테이션 운용동 내에 있는 HTV 운용 관제실(HTVMCR)에서 이루어진다. HTV가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후방 5km에 도달하기 90분 전부터 NASA의 존슨 우주 센터(JSC)에 있는 미션 컨트롤 센터(MCC-H)와의 통합 운용이 이루어진다.[40][57] 운용 관제 훈련 및 협의는 발사 1년 이상 전부터 이루어지며, HTV 운용 관제팀(HTV FCT)은 3교대 24시간 체제로 상시 약 20명이 운용을 한다.[57] HTV 절차서는 1,800종류 이상이며, NASA와의 절차서도 수백 종류가 있다.[52]

2011년 고노토리 2호기 미션 중에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쓰쿠바 우주 센터의 관제 설비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NASA 관제 센터에 관제관을 파견하여 대응했다. 이 사건으로 쓰쿠바 우주 센터 내 다른 건물에 HTV 예비 관제 센터가 설치되었다.[40]

4. 1. 발사 및 랑데부

H-IIB 로켓으로 고도 200km/300km의 타원 궤도로 발사된 HTV는 NASA의 추적 및 데이터 중계 위성 TDRS와의 통신을 시작하고, 쓰쿠바 우주 센터에 있는 HTV 관제 센터(HTV-CC)의 관제를 받는다. HTV가 정상임을 확인하면 약 3일 동안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23km 위치까지 접근한다.[40][57]

이 거리에서는 "키보"에 설치된 근접 통신 시스템(PROX)[59]과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키보에 탑재된 GPS 수신기를 이용한 GPS 상대 항법(RGPS)에 의해, ISS와 같은 고도에서, ISS의 5km 후방의 접근 시작점(AI점)에 투입된다. AI점까지 정상 상태가 확인되면 AI 기동에 의해 접근을 지속한다. 어떤 이유로 접근을 중단하고 싶을 때는 AI점에서 상대적으로 정지(ISS와 일정한 위치 관계를 유지)한다.

4. 2. ISS 결합

프로그레스 보급선이나 유럽 우주 수송기(ATV)와는 달리, HTV는 자동 도킹을 하지 않는다. 다른 공통 결합 기구(CBM)를 사용하는 모듈과 마찬가지로, HTV는 캐나다 암 2로 쥐어져 수동 조작으로 결합한다. 우선, HTV는 안전 확보를 위해 모든 스러스터를 정지하고 대기한다. 다음으로, 캐나다 암 2가 HTV를 쥐고 하모니의 지구 측 결합부에 장착한다.

프로그레스와 ATV(러시아 측의 안드로지너스 도킹 기구를 채용)와 달리, 수동 결합 방식을 채택했는데, 이는 결합에 이용하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CBM이 자동 도킹을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타겟 마커가 없음, 도킹 시 충격 부하를 견딜 수 없음 등)이다. 이는 자동 도킹보다 대형 화물의 수송을 우선시했기 때문이다.[108]

이 연결 방식의 채택으로, 해치가 1.2×1.2m의 정방형(프로그레스와 ATV의 해치는 내경 80cm의 원형)이 되었으며,[61] 프로그레스나 ATV에 비해 더 큰 물품의 반출이 가능하게 되었다.[62]

4. 3. 계류 중

HTV는 자동 도킹을 하지 않고 캐나다 암 2로 쥐어져 수동 조작으로 하모니의 지구 측 결합부에 결합한다. 이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공통 결합 기구(CBM)가 자동 도킹을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08] 이러한 연결 방식 덕분에 HTV의 해치는 1.2×1.2m의 정방형으로, 프로그레스 보급선이나 유럽 우주 수송기(ATV)의 해치(내경 80cm의 원형)보다 커서 더 큰 물품을 반출할 수 있다.[61][62]

HTV는 ISS의 최전방에 위치한 하모니에 도킹하기 때문에 HTV를 사용해 ISS의 리부스트를 수행하지 않는다. HTV가 계류 중인 동안 우주왕복선이 도킹하는 경우, HTV 바로 옆에 셔틀의 페이로드 베이가 위치하여 물자 반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특히 다목적 보급 모듈(MPLM)을 수송하는 미션의 경우, MPLM이 결합에 사용하는 하모니의 지구 측 결합부를 HTV가 막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전에 HTV를 하모니의 천정 측 결합부로 옮겨 놓을 필요가 있다.[63] 실제로, HTV 2호기에서는 STS-133의 도착에 대비하여 HTV2를 하모니의 천정 측 결합부로 이동시켰다.

4. 4. 분리 및 폐기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분리된 HTV는 캐나다암 2를 이용하여 ISS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한다. 이후 결합을 해제, 방출하여 ISS에서 멀어지게 한다. 궤도를 이탈하기 위한 분사를 실시, 남태평양이나 인도양으로 재진입한다. 재진입 시 발생하는 1000°C 이상의 고온을 견딜 수 있는 내열 금속 재질의 일부 부품(분사 노즐, 탱크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연소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알루미늄 합금이나 특수 수지로 만들어진 본체는 폐기된 불필요한 물건들과 함께 대부분 연소되어 임무를 마친다.[62] 연소되지 않은 극히 일부 부품은 남태평양 또는 인도양 해저에 가라앉는다.

5. 제원

HTV는 전장 9.8m(추진기 포함), 직경 4.4m이다. 빈 상태의 총 질량은 10500kg이며, 최대 총 페이로드는 6000kg, 최대 발사 중량은 16500kg이다.[5] HTV는 4개의 500-N급 주 추진기와 28개의 110-N급 자세 제어 추진기를 갖추고 있으며, 모두 모노메틸하이드라진(MMH)을 연료로, 혼합 질소 산화물(MON3)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쌍추진제를 사용한다.[8] HTV-1, HTV-2, HTV-4는 에어로젯의 110 N R-1E (우주 왕복선의 버니어 엔진)와 아폴로 우주선의 R-4D를 기반으로 한 500 N을 사용한다.[8] 이후 HTV는 IHI 에어로스페이스 Co., Ltd.가 제작한 500 N급 HBT-5 추진기와 120 N급 HBT-1 추진기를 사용한다.[9] HTV는 약 2400 kg의 추진제를 4개의 탱크에 싣는다.[8]

보급 능력은 다음과 같다.[64]

우주 정거장으로의 보급 능력기술 실증기 실적
HTV1
운용기 HTV2 이후
합계5.3ton최대 6ton (HTV7에서는 약 6.2ton의 실적이 있다[103].)
선내 물자4ton최대 5.2ton
선외 물자1.3ton최대 1.5ton (HTV6부터는 최대 1.9ton이 되었다[103].)
총 질량 (참고)16ton최대 16.5ton



4개의 주 추진기. 이 HTV-1의 모습 오른쪽에 작은 자세 제어 추진기를 볼 수 있다.

6. 운용 실적

기준, 총 9번의 HTV 임무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13] 처음에는 2008년부터 2015년까지 7번의 임무가 계획되었으나, 국제 우주 정거장(ISS) 프로젝트가 2028년까지 연장되면서 3개의 임무가 추가되었다.[11]

첫 번째 우주선인 HTV-1은 2009년 9월 10일 17:01 (UTC)에 요시노부 발사 단지의 발사대 2번에서 H-IIB 로켓으로 발사되었다.[12] 이후 2020년까지 각 기체별로 발사 날짜/시간, 정박 날짜/시간, 운반 로켓, 재진입 날짜/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HTV발사 날짜/시간 (UTC)정박 날짜/시간 (UTC)[17]운반 로켓재진입 날짜/시간 (UTC)결과
HTV-12009년 9월 10일, 17:01:562009년 9월 17일, 22:12H-IIB F12009년 11월 1일, 21:26[18]성공
HTV-22011년 1월 22일, 05:37:572011년 1월 27일, 14:51H-IIB F22011년 3월 30일, 03:09[19]성공
HTV-32012년 7월 21일, 02:06:182012년 7월 27일, 14:34H-IIB F32012년 9월 14일, 05:27성공
HTV-42013년 8월 3일, 19:48:462013년 8월 9일, 15:38H-IIB F4[20]2013년 9월 7일, 06:37[21]성공
HTV-52015년 8월 19일, 11:50:492015년 8월 24일, 17:28[22]H-IIB F52015년 9월 29일, 20:33[23]성공
HTV-62016년 12월 9일, 13:26:472016년 12월 13일, 18:24H-IIB F62017년 2월 5일, 15:06[24]성공
HTV-72018년 9월 22일, 17:52:272018년 9월 27일, 18:08H-IIB F72018년 11월 10일, 21:38[25]성공
HTV-82019년 9월 24일, 16:05:052019년 9월 28일, 14:09H-IIB F82019년 11월 3일, 02:09성공
HTV-92020년 5월 20일, 17:31:002020년 5월 25일, 12:13H-IIB F9 (마지막)2020년 8월 20일, 07:07성공



개선된 버전인 HTV-X는 2022년 2월로 예정된 첫 비행을 시작으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ISS 보급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15]

6. 1. 주요 탑재품

탑승원의 생활 관련 물품부터, 음식료, 실험 장비, 소형 위성까지 다양한 물품을 탑재·수송하고 있다. 음료수 수송은 2호기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 있는 싱크의 수도꼭지에서 물을 끌어온 뒤, NASA의 기준에 맞춰 물을 정제하고, 살균 성분인 요오드를 조금 첨가하여 전용 물 백(CWC-I)에 담아 ISS로 운반한다[93] . 음료수 물 백(CWC-I)은 1개당 20L로, 30개(총 600L)는 리사이클을 전제로 우주비행사 3명의 4개월분에 해당한다[93] . 5호기부터는 오렌지레몬 등 신선 식품도 수송하고 있다[94] .

기체명가압부 탑재품비가압부 탑재품
HTV
기술 실증기
코노토리
2호기
코노토리
3호기
코노토리
4호기
코노토리
5호기
코노토리
6호기
코노토리
7호기[103]
코노토리
8호기[104][105]
코노토리
9호기[106]


7. 타 수송 수단과의 비교

HTV는 우주왕복선 퇴역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선외 물자를 수송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다.[108] 러시아의 프로그레스 보급선과 유럽의 유럽 보급기(ATV)는 HTV보다 작은 해치(직경 80cm)를 사용했기 때문에 국제 표준 실험 랙(ISPR) 수송이 불가능했다. HTV는 ISPR을 ISS로 운송할 수 있는 유일한 우주선이었다. 스페이스X 드래곤시그너스는 재보급 화물 가방은 운반할 수 있지만 ISPR은 운반할 수 없었다.

프로그레스와 ATV는 ISS의 추진제를 보급하고 ISS를 리부스트(고도를 높이는 것)할 수 있었지만, HTV는 이러한 기능이 없었다.

소형 실험 장비, 식량, 의류 등은 HTV, 프로그레스, ATV 모두 수송 가능하다. HTV는 ISS 도착까지 약 3일이 소요되어 발사 및 도착 시각을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었다.[41]

7. 1. 랑데부 및 결합 시스템

HTV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과의 랑데부 및 결합 시스템에서 기존 방식과 다른 방식을 채택했다. 다른 우주선들은 러시아제 자동 도킹 시스템(안드로지너스 도킹 기구)을 사용하지만, HTV는 세계 최초로 "랑데부 비행으로 접근한 후, 상호 정지 상태에서 로봇 팔로 잡아서 결합시키는" 캡처 및 버싱 방식을 채택했다.[109] 이 방식은 미국의 민간 회사 두 곳이 개발하는 COTS 우주선에서도 채택되었다.[110]

무인 랑데부 기술에는 기술 시험 위성 기쿠 7호의 실증 경험이 활용되었다.[111]

7. 2. NASA의 HTV 이용 가능성

2008년 7월 20일 요미우리 신문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우주왕복선 퇴역 후 HTV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지만,[39] 다음 날 NASA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이를 부인했다.[40]

HTV는 일본뿐만 아니라 NASA의 실험 장치 및 보급품도 탑재하여 이용되었다.[40] 2015년에는 드래건 7호기의 발사 실패로 인해 NASA의 의뢰로 '고노토리' 5호기가 물 재생 시스템용 보급 물품을 긴급 수송하기도 했다.

8. 주요 개량

HTV는 당초 2015년까지 7기를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2016년까지 7기, 2019년까지 9기로 발사 계획이 변경되었다.[40] 이 기간 동안 HTV는 여러 개량을 거쳤으며, HTV3에서 국산화를 위한 개량이 완료되었다.[40]

HTV의 주요 개량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량 내용적용 시기비고
LED 조명 채용2호기 (2010년)파나소닉 전공 개발, 형광등 대비 내구성 및 안정성 향상
메인 엔진 및 스러스터 국산화3호기, 5호기 이후IHI 에어로스페이스사제 HBT-5, HBT-1 엔진으로 교체, 국제 우주 정거장(ISS) 접근 운용 방식 변경
축전지 개량HTV-X에 반영 예정지상 충전용 축전지와 태양광 충전용 축전지 통합, 중량 감소 목표
태양 전지 패들화HTV-X에 반영 예정방열 특성 및 발전 효율 개선, 비행 자세 자유도 향상 목표
H-IIB 로켓과의 접속부 개선H3와 HTV-X에서 4.4m로 예정HTV 구조 간소화, 경량화, 보급품 탑재량 증가 목표



이러한 개량은 후속 기종인 HTV-X에 반영될 예정이다.

8. 1. LED 조명 채용

보급부 가압 구역 내 조명에는 국제우주정거장(ISS) 공통의 형광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형광등은 미국산으로, 깨져도 유리수은이 흩어지지 않는 등 우주에서의 사용에 대응한 특별품이다. 국제우주정거장(ISS) 계획의 지연이나 연장에 따른 경년 열화로 인해 국제우주정거장(ISS) 내에서 점등되지 않는 형광등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HTV용으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한 LED 조명 장치가 개발되어, 2010년 발사된 2호기부터 탑재되었다. 이 조명 장치는 파나소닉 전공이 JAXA의 사업 공모 제도 "우주 오픈 랩"에 응모하여 채택된 것으로, LED는 형광등에 비해 열화나 고장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고장이 나더라도 20개의 LED와 2개의 전원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히 점등되지 않을 가능성이 낮다고 한다. LED 조명 장치는 먼저 HTV에서 사용되지만, 국제우주정거장(ISS) 본체에도 채용하기 위해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115]

8. 2. 메인 엔진과 스러스터 국산화

3호기, 5호기 이후부터는 IHI 에어로스페이스사제 국산 엔진(HBT-5, HBT-1)으로 교체되었다.[54][55] 국산 엔진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엔진과 특성이 달라 고노토리의 국제 우주 정거장(ISS) 접근 운용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고, NASA의 안전 심사를 다시 받았다.[56]

실증기, 2호기, 4호기 추진 모듈에는 에어로제트 사의 메인 엔진과 스러스터가 사용되었다. 이는 1990년대 HTV 계획 당시 국산 스러스터의 궤도상 실적이 부족했기 때문이다.[116] 2000년대 이후 BT-4, BT-6 등 국산 스러스터가 많은 궤도상 실적을 쌓으면서,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했다고 판단하여 국산화가 결정되었다. 메인 엔진은 HBT-5, 스러스터는 HBT-1이 채택되었으며 (IHI 에어로스페이스 제조),[116] ISS 접근 및 재돌입 시의 높은 열 부하를 고려하여 열 안정성 향상, 연소실 근원부 온도 안정화, 연소 진동 억제가 이루어졌다.[54] 개발된 RCS/메인 스러스터는 모두 멀티 엘리먼트형 필름 냉각 인젝터 방식이다.[54] 당초 2호기 이후 적용 예정이었으나,[116] 2008년 변경으로 3호기 이후에 적용되었다 (실제로는 HTV 3호기와 5호기 이후 사용).[117][118]

8. 3. 축전지 개량

HTV는 당초 일차 전지만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개발 도중 태양 전지축전지를 추가하였다. 이후 고성능 우주용 일차 전지를 입수할 수 없게 되어 두 전지 모두 동일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초 설계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일차 전지를 대신하여 탑재한 전지는 태양 전지로 충전할 수 없어 전지가 중복 탑재된 설계가 되었다. 그래서 지상에서 충전한 축전지를 궤도상에서 태양 전지로 충전할 수 있도록 회로 설계를 변경하여 총중량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축전지를 줄이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는 후속기인 HTV-X에 반영될 예정이다.[119]

8. 4. 태양 전지 패들화

HTV는 태양 전지를 본체 표면에 부착하고 있어 방열 특성을 악화시킨다. HTV의 모듈 설계를 활용하여 범용 궤도 간 수송기로 사용할 경우, 태양 전지를 패들화함으로써 방열 특성 개선에 따른 경량화, 발전 효율 개선에 따른 태양 전지 경량화, 비행 자세의 자유도 개선을 도모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1] 검토 결과는 후속 기종인 HTV-X에 반영될 예정이다.[1]

8. 5. H-IIB 로켓과의 접속부 개선

H-IIB 로켓 2단은 H-IIA 로켓과 공통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위성 탑재부 직경이 3.2m이며, 직경 4m인 HTV는 하단을 좁힌 형태이다. H-IIB의 위성 탑재부를 4m로 확대하면 HTV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경량화할 수 있다.[1] H-IIB 2단 자체를 1단과 동일한 직경 5.2m 정도로 대형화하면 추진제를 증량하여 HTV 총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1] 이러한 개량으로 보급품 탑재량을 늘리고, 후술할 발전형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H3와 HTV-X에서는 4.4m 예정).[1]

9. 수상 경력

HTV 프로젝트 팀은 여러 차례 과학기술 관련 상을 받았다.

수상 연도상 이름수상 대상수상자
2009년 12월 25일과학기술에 현저한 공헌 나이스 스텝 연구자고도의 안전성·신뢰성을 만족하는 우주 정거장 보급기(HTV)의 기술 실증[121][122]HTV 프로젝트 팀 (단체)
2010년 4월 7일제39회 일본 산업기술대상 문부과학대신상HTV/H-IIB 로켓 개발[123][124][125][126]JAXA, 미쓰비시중공업, 미쓰비시전기, IHI 에어로스페이스, 유인 우주 시스템, 우주기술개발, NEC, 가와사키중공업, IHI, 일본항공전자공업, 미쓰비시정밀, 미쓰비시 스페이스·소프트웨어 (11개사, 단체)
2011년 4월 11일헤이세이 23년도 과학기술 분야의 문부과학대신 표창 과학기술상(연구 부문)궤도상 유인 시설에 대한 랑데부 도킹과 보급 기술에 관한 연구[127]토라노 요시히코, 사사키 히로, 야마나카 코지
2011년 6월 10일제22회 전파공적상 총무대신상HTV 근접 접근 시스템 통신 기술의 개발(Proximity Communication System: PROX)[128][129]JAXA 유인 우주 환경 이용 미션 본부 우주 정거장 회수기 연구 개발실, 미쓰비시전기 HTV 근접 접근 시스템 통신 기술 연구 개발 그룹


10. 후계기 계획 (HTV-X)

2015년 5월, 일본 문부과학성은 기존 HTV를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한 HTV-X로 교체하는 방안을 발표했다.[11][26] 같은 해 12월, 일본 내각부 우주 정책 전략 본부는 HTV-X 개발 계획을 승인했으며, H3 로켓을 사용한 HTV-X1(기술 시연 차량) 발사를 2021 회계 연도에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7][28] 이후 발사일은 여러 차례 연기되어, 2022년에는 2024년 1월로 조정되었다.[30]

HTV-X는 길이를 6.2m로 줄이고(비압력 화물 모듈 장착 시 10m), 화물 적재 공간을 넓혀 압력 화물 모듈을 다른 모듈로 교체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한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측면 해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28]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으로 루나 게이트웨이에 화물을 수송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31]

2020년에 HTV는 최종호기인 9호기를 발사했고,[89] 2015년 12월 8일에 개최된 우주 개발 전략 본부에서 2021년 이후에는 H3 로켓을 이용한 새로운 우주선(HTV-X) 발사로 전환하는 것이 공식적으로 결정되었다.[107]

일본의 우주정거장 계획은 매년 약 400억 엔의 비용이 소요되어 예산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 5월, 문부과학성은 2021년 이후 비용을 절반으로 줄인 HTV-X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130][131] 같은 해 12월 8일, 우주개발전략본부는 2021년 이후 HTV-X로 전환하는 것을 공식 결정했다.[132]

HTV-X는 개발 비용 절감을 위해 가압부는 크게 변경하지 않고, 태양 전지 패들을 적용하고, 추진계와 전기계 모듈을 서비스 모듈로 통합하는 등 구조 설계를 대폭 개선했다. 이를 통해 수송 능력을 유지하면서 제조 비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화물 탑재부를 교체하고 기능을 추가하며, 서비스 모듈의 능력을 향상시켜 달 궤도 간 수송기, 심우주 수송기, 궤도상 서비스기, HTV-R과 같은 지구 회수 시스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42][134]

10. 0. 1. 자립형 회수 캡슐

HTV-X에서 실용화를 목표로 캡슐 단독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방출되어 지구로 귀환할 수 있는 자립형 회수 캡슐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136]

11. 구상되었던 발전형

HTV는 인간을 태워 발사하지는 않지만,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안전성을 갖추고 있으며, 무인 단독 비행이 가능한 우주선이다. 이러한 HTV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발전형이 구상되었으나,[137][138] 논문이나 잠정적인 계획 등으로 발표되었지만, 모두 요소 기술 개발에 그치거나 구상 단계에 머무르는 등, 정식으로 개발이 결정된 것은 없다.

11. 1. 회수 기능 부가형 우주 정거장 보급기 (HTV-R)

2010년, 우주왕복선 퇴역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실험 시료 등을 가져올 수단이 줄어들 것이 확실해졌다. 당시 유일한 수단은 소유스 우주선뿐이었고, 소유스에 탑재할 수 있는 물자는 1기당 60kg으로 제한되어 일본은 독자적인 물자 회수 수단으로 HTV-R 개발 구상을 제기했다.[139] HTV-R을 통해 미래 유인 우주선 개발을 위한 대기권 재진입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기대도 있었다.

HTV-R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구분내용
옵션 0 (가압부 내 탑재형 소형 캡슐)기존 HTV를 거의 그대로 활용. 회수 가능 무게는 작지만, 가장 빠르게 회수 능력 확보 가능.
옵션 1 (비가압부 내 탑재형)비용 절감을 위해 기존 HTV에 가압부에서 비가압부에 설치하는 귀환 모듈 접근 경로를 추가. 비가압부에 들어가는 크기로 유인기에 가까운 수준의 귀환 능력과 300kg 회수 능력 확보.
옵션 2 (가압부 치환형)가압부 전체를 미래 유인기에 가까운 형태의 회수 모듈(HTV Return Vehicle: HRV)로 대체. 유인기에 가까운 형태로 귀환 능력과 무인기로 1.6톤 회수 능력 확보. HRV는 최대 직경 4.4m, 높이 3m, 무게 6.5t으로 예상. 귀환 시 양항비 0.3 정도의 양력 비행으로 페이로드에 부담을 덜 주는 작은 감속도 실현 예정.[140]



채택된 안은 옵션 2였으며, 2012년 8월 우주 정책 위원회 회의에서 2018년 이후 발사가 검토되었다.[141] 그러나 2013년 10월, 예산 문제로 개발 기간 단축을 꾀한 설계는 의미가 없어졌다며, 디자인을 전면적으로 바꾼 드래곤 우주선과 비슷한 안이 발표되었다.[142][143]

2014년 4월, JAXA는 "HTV 탑재 소형 회수 캡슐 개발" 기술 제안 공고를 냈다.[144] 8월에는 계약 상대방 선정 결과가 발표되었다.[145] 2015년 10월 22일, JAXA는 홋카이도 다이키 항공 우주 실험장 앞바다에서 모의 소형 회수 캡슐 낙하 시험을 실시했다.[146][147]

2018년 9월 23일, 고노토리 7호기에 소형 회수 캡슐(HTV Small Re-entry Capsule: HSRC)이 탑재되어 물자 회수 기술 실증이 실시되었다.[148]

2015년 5월 발표된 HTV-X 구상에서는 HTV-X의 추가적인 미래 임무에 대응하기 위해 HTV-X 가압부를 캡슐형으로 대체한 HTV-R과 같은 지구 회수 시스템 구상도가 게재되었다.[134]

HTV 가압부를 캡슐 방식으로 한 물자 회수 아이디어는 HTV-R 구상 이전인 2006년에 나왔으며, 날개 달린 캡슐이나 캡슐 유인화도 언급되었다.[149]

11. 2. 달 궤도 간 수송기

HTV의 추진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켜 국제 우주 정거장(ISS)과 달 궤도를 연결하는 달 궤도 간 수송기를 개발하는 구상이 있었다. 개발 중인 액화 천연 가스(LNG) 추진 시스템은 액체 수소보다 우주 공간에서의 보존이 용이하고, 히드라진보다 성능과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달 궤도 간 수송기의 추진제에도 적합하다는 점에서, HTV와 조합하여 달 궤도 간 수송기를 실현하는 구상이 있었다. 2015년 시점에서는 HTV-X를 개발할 경우, 장래에 HTV-X의 능력과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달 궤도 간 수송기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언급되었다.[35]

11. 3. 유인 우주선

2008년 6월에 발표된 "탈출 시스템과 H-IIB 로켓을 갖춘 유인 우주선 예비 연구"는 HTV의 추진 모듈과 4명의 승무원을 위한 유인 캡슐을 결합하는 것을 제안했다.[37] JAXA는 2015년에 유인 우주선 개발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2025년에 실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HTV는 ISS에 묶여 있는 동안 우주 비행사가 드나들기 때문에 유인 우주선에 상당하는 안전성을 갖추고 있어, 일본의 유인 우주선 개발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를 위해, 회수 기능 부가형 우주 정거장 보급기(HTV-R)를 실용화하는 등, 유인 우주선의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2015년까지 유인 우주선 개발 계획을 정리할 방침이었다. 구상에서는 2020년까지 HTV-R을 발전시킨 유인 회수 캡슐과, 무인의 유익 재사용형 회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들을 통합하여 2025년까지 재사용형 유인 우주선을 개발할 예정이었다.

2008년 6월에 발표된 구상[138]에 따르면, HTV의 추진 모듈에 4인승 유인 캡슐을 조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최소 구성의 무게는 6ton으로, H-IIA202형 로켓으로 발사도 가능하지만, 탈출 로켓을 갖추지 않아 유인 발사는 불가능하다. 최대 구성에서는 탈출 로켓과 거주 모듈도 탑재되며, H-IIB 로켓의 2단을 대형화하여 대응한다. 이 구상은 2001년에 NASDA 선단 미션 연구 센터가 발표한 "후지"와 공통점이 많다.[150]

소유스 (소련 및 러시아 연방)와 선저우(중화인민공화국)는 위에서부터 탈출 로켓, 거주 모듈, 유인 캡슐, 전기·추진부 순서로 배치되어 탈출 로켓이 보급 캐리어와 함께 캡슐을 탈출시킨다. 반면 HTV 유인형은 유인 캡슐, 추진 모듈, 거주 모듈 순서이므로, 탈출 시에는 유인 캡슐만을 탈출시킨다. 궤도에 도달하면, 보급 캐리어를 뒤에서 앞으로 교체하여 소유스 등과 같은 구성이 된다고 했다.

11. 4. 일본 독자 우주 정거장

HTV를 기반으로 일본 독자적인 우주 정거장을 건설하는 구상이 있었다.[38] HTV를 우주 정거장 모듈로 활용하거나, HTV 자체를 우주 정거장의 추진 기능으로 이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었다.

이는 미르와 ISS의 러시아 궤도 세그먼트에 있는 모듈들이 TKS 우주선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TKS 우주선을 기반으로 개발된 모듈들은 자력으로 ISS에 도킹할 수 있으며, ISS의 고도와 자세 제어에도 사용된다. 중국의 선저우 우주선도 궤도선과 조합하여 우주 정거장으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JAXA에서는 HTV 기반 추진 모듈과 HTV로 수송되는 태양 전지 어레이, 거주 모듈을 발사하여 키보와 조합, 일본 독자적인 소형 우주 정거장(JSS)을 실현하는 안을 제시했다. 우주 정책 싱크탱크 "소라노카이(宙の会)"도 이와 유사한 구상을 발표했는데, ISS 모듈을 유용하여 더 큰 규모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12. 정보 유출 사건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의 정보 유출 사건을 참고.

13. 기타

HTV 실물 크기 전시 모델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쓰쿠바 우주 센터의 전시관 "스페이스 돔" 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전시되어 있다.[151]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KOUNOTORI" http://www.jaxa.jp/c[...] 2011-01-18
[2] 웹사이트 「こうのとり」(HTV)5号機の搭載物変更について http://www.mext.go.j[...] 2015-12-17
[3] 웹사이트 NASA Sets Briefing, TV Coverage of Japan's First Cargo Spacecraft http://www.nasa.gov/[...] NASA 2009-09-03
[4] 웹사이트 "KOUNOTORI" Chosen as Nickname of the H-II Transfer Vehicle (HTV) https://web.archive.[...] JAXA 2010-11-11
[5] 웹사이트 H-II Transfer Vehicle "KOUNOTORI" (HTV) https://web.archive.[...]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2010-11-11
[6] conference Kibo Utilization Status Update http://www.aprsaf.or[...] 2019-06-20
[7] journal Development of the H-II Transfer Vehicle (HTV) https://www.mhi.co.j[...] Mitsubishi Heavy Industries 2010-03
[8] conferenc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HTV Propulsion Module https://arc.aiaa.org[...] 2019-06-20
[9]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3号機(HTV3)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iss.jaxa.jp/h[...] 2012-06-24
[10] 웹사이트 HTV Operations http://iss.jaxa.jp/e[...] 2011-01-02
[11] 웹사이트 2016年~2020年のISS共通システム運用経費(次期CSOC)の我が国の負担方法の在り方について http://www.mext.go.j[...]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5-06-04
[12] 간행물 Launch of the H-IIB Launch Vehicle Test Flight http://www.jaxa.jp/p[...] 2019-06-20
[13]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Station Flight Schedule http://spider.seds.o[...] SEDS 2015-03-15
[1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Station Flight Schedule http://spider.seds.o[...] SEDS 2013-08-09
[15] 웹사이트 Koichi Wakata, JAXA vice president and astronaut, helps chart future of ISS and human space exploration https://spacenews.co[...] 2018-07-27
[16] 웹사이트 Japan to develop habitation unit for Gateway lunar station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19-03-19
[17] 웹사이트 H-II Transfer Vehicle "KOUNOTORI" (HTV) Topics http://www.jaxa.jp/p[...]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18] 웹사이트 History-making Japanese space mission ends in flames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0-11-13
[19] 웹사이트 Japan's HTV cargo freighter proves useful to the end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1-04-21
[20] 웹사이트 Japan launches resupply mission to space statio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3-08-03
[21] 웹사이트 Japan's cargo craft makes in-orbit delivery to space statio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3-08-09
[22] 웹사이트 Successful berthing of the H-II Transfer Vehicle KOUNOTORI5 (HTV5)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http://global.jaxa.j[...]
[23] 웹사이트 Successful re-entry of H-II Transfer Vehicle "KOUNOTORI5" (HTV5) http://global.jaxa.j[...] JAXA 2015-09-30
[24] 웹사이트 HTV6:H-II Transfer Vehicle KOUNOTORI (HTV)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JAXA http://iss.jaxa.jp/e[...] 2018-11-26
[25] 웹사이트 HTV7:H-II Transfer Vehicle KOUNOTORI (HTV)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JAXA http://iss.jaxa.jp/e[...] 2018-11-26
[26] 웹사이트 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計画を含む有人計画について http://www8.cao.go.j[...] 2015-07-13
[27]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平成27年度改訂) http://www8.cao.go.j[...] Strategic Headquarters for Space Policy 2016-07-18
[28] 웹사이트 HTV‐Xの開発状況について http://www.jaxa.jp/p[...] 2016-07-18
[29] 웹사이트 Station mission planning reveals new target Commercial Crew launch dates https://www.nasaspac[...] 2019-06-20
[30] tweet The debut of Japan’s new ISS cargo supply ship, HTV-X, has been delayed from January 2023 to January 2024. It will launch on Japan’s H3 rocket, which also has yet to make its debut. 2022-10-26
[31] 웹사이트 アルテミス計画に関する各国の開発状況について https://www.mext.go.[...] Ministry of Education, Cultura, Sports and Technology 2021-07-09
[32] 웹사이트 回収機能付加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HTV-R)検討状況 http://www.jaxa.jp/p[...] JAXA 2011-09-07
[33] 웹사이트 回収機能付加型HTV(HTV-R) https://web.archive.[...] JAXA 2011-09-07
[34] 웹사이트 Japan Wants Space Plane or Capsule by 2022 http://www.space.com[...] Space.com 2012-10-25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 Lunar Mission Architecture / System and its Technologies http://www.nasa.gov/[...] JAXA 2015-01-22
[36] 웹사이트 An International Industry Perspective on Extended Duration Missions Near the Moon http://www.nasa.gov/[...] Lockheed Martin Corporation 2014-04-10
[37] 웹사이트 Preliminary Study for Manned Spacecraft with Escape System and H-IIB Rocket https://archive.ists[...] 26th ISTS 2008-06
[38] 웹사이트 Development Plan for Future Mission from HTV System https://archive.ists[...] JAXA 2016-07-19
[39] 뉴스 「こうのとり」軌道に入る 最後の打ち上げ成功 25日夜、ISSへ 読売新聞 2020-05-22
[40]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3 号機 (HTV3)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s://iss.jaxa.jp/[...] 2018-09-26
[41] 웹사이트 『三菱重工グラフ』2014年 No.174 https://www.mhi.com/[...] 三菱重工業 2018-10-16
[42] 웹사이트 JAXA's No.051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43] 웹사이트 「こうのとり」(HTV)のこれまでの歩み https://humans-in-sp[...] 2021-07-22
[44]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技術実証機(HTV1) プロジェクトに係る事後評価について https://www.mext.go.[...] JAXA 2018-10-16
[45] 뉴스 H-II Transfer Vehicle〜日本初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HTVプロジェクトの軌跡 https://www.youtube.[...]
[46] 웹사이트 日本宇宙開拓史 第9章 日本製スペースシャトル http://www.sf-fantas[...] 2010-11-11
[47] 웹사이트 国産衛星:はやぶさ、おおすみ…誰が命名?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8-10-16
[48]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HTV)の愛称選定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10-11-11
[49]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7 号機(HTV7)に係る安全対策について(調査審議結果) https://www.mext.go.[...] JAXA 2018-09-24
[50] 웹사이트 JAXA's No.040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51] 웹사이트 "「こうのとり」の荷づくり(8月17日改訂版)" https://fanfun.jaxa.[...] JAXA 2015-08-26
[52] 웹사이트 JAXA's No.036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53] 뉴스 Aerojet Engines Power Japanese HTV Mission to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sys-con.c[...] 2015-08-26
[54] 간행물 日本航空宇宙学会誌 Vol.58 No.682 2010.11 P343「特集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HTV) 第6回 HTV推進系の開発」 5.今後の開発計画(P346-347) 日本航空宇宙学会
[55]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 「こうのとり」3 号機 (HTV3) 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s://iss.jaxa.jp/[...] JAXA 2018-10-16
[56] 웹사이트 JAXA's No.047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57] 웹사이트 ファン!ファン!JAXA! おさらい!「こうのとり」運用管制チーム https://fanfun.jaxa.[...] 2018-09-26
[58]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2 号機 (HTV2)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s://iss.jaxa.jp/[...] 2018-09-26
[59] 웹사이트 ISS関連用語集 近傍通信システム http://iss.jaxa.jp/g[...]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8-11-09
[60] 웹사이트 ランデブ/ドッキング https://iss.jaxa.jp/[...]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5-08-26
[61]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 (HTV) 報道機関向け説明資料 http://iss.jaxa.jp/k[...] JAXA 2010-11-11
[62] 뉴스 補給機HTV、宇宙基地接続成功 物資輸送の第一歩 https://web.archive.[...] 2015-08-26
[63] 웹사이트 STS-127(2J/A)プレスキット https://iss.jaxa.jp/[...]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5-08-26
[64] 뉴스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HTV)の概要 https://www.jaxa.jp/[...] 2011-01-10
[65] 문서 電力・通信ラインの結合をもって「結合完了」した日時。ロボットアームによる把持日時や共通結合機構(CBM)とのボルト締結日時ではない。
[66] 문서 ロボットアームによるCBMからの取り外し日時。
[67]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試験機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HTV)技術実証機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09-09-27
[68] 웹사이트 HTV1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5-08-25
[69]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2号機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2号機(HTV2)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速報) https://www.jaxa.jp/[...] 2011-02-05
[70] 웹사이트 HTV2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5-08-25
[71]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3号機による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3号機(HTV3)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12-07-21
[72] 웹사이트 「こうのとり」3号機(HTV3)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2-09-14
[73] 웹사이트 H-IIB ロケット4号機 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4号機(HTV4)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13-08-04
[74] 웹사이트 「こうのとり」4号機(HTV4)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3-09-07
[75] 웹사이트 H-IIB ロケット5号機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5号機(HTV5)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15-08-19
[76] 웹사이트 「こうのとり」5号機(HTV5)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5-08-25
[77]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6号機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6号機(HTV6)の打上げ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16-10-07
[78] 웹사이트 「こうのとり」6号機(HTV6)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79] 웹사이트 「こうのとり」6号機(HTV6)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7-01-28
[80] 웹사이트 写真で振り返る「こうのとり」6号機ミッション https://fanfun.jaxa.[...] JAXA 2017-02-07
[81]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7号機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7号機(HTV7)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18-09-23
[82] 웹사이트 「こうのとり」7号機(HTV7)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8-09-29
[83] 웹사이트 「こうのとり」7号機(HTV7)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8-11-11
[84] 웹사이트 「こうのとり」7号機(HTV7)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8-11-11
[85]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8号機による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8号機(HTV8)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19-09-25
[86] 웹사이트 「こうのとり」8号機(HTV8)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9-09-29
[87] 웹사이트 「こうのとり」8号機がISSから分離しました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88] 웹사이트 「こうのとり」8号機(HTV8)の大気圏への再突入完了を確認しました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89] 간행물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9号機(HTV9)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jaxa.jp/[...] MHI 2020-05-21
[90] 웹사이트 「こうのとり」9号機(HTV9)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20-05-26
[91] 웹사이트 「こうのとり」9号機(HTV9)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20-08-19
[92] 웹사이트 「こうのとり」9号機(HTV9)ミッション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20-08-20
[93] 웹사이트 JAXA's No.067 https://fanfun.jaxa.[...] JAXA 2017-01-01
[94] 웹사이트 JAXA宇宙飛行士活動レポート 2015年8月 「こうのとり」5号機(HTV5)ミッションを支えたJAXA宇宙飛行士の活動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5-08
[95] 웹사이트 きぼう日本実験棟 全体スケジュール https://iss.jaxa.jp/[...] JAXA
[96]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2号機(HTV2)の準備状況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10-10-27
[97] 문서 当初アメリカから搬送予定だったが、費用がかさむため、NASAの要請により種子島宇宙センター内の貯水池の水(すなわち水道水)に変更。2010年11月17日付『[[南日本新聞]]』報道による。
[98] 웹사이트 HTV2号機の打上げに向け、曝露パレットにNASAの物資を搭載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 広報・情報センター 2010-09-29
[99] 웹사이트 HTV-2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s://iss.jaxa.jp/[...] JAXA 2010-12-24
[100] 문서 ISSでクルーの[[尿]]や[[空気調和|空調]]設備から回収される水を利用して、最終的に使用可能な水を生成する装置の構成品。米ドラゴン7号機の打ち上げ失敗により、NASAからの要請で緊急に搭載された物。
[101] 문서 船外活動中の[[宇宙飛行士]]が誤って宇宙空間に放り出された場合などに、宇宙船に戻れるようにするための推進装置。
[102] 문서 [[暗黒物質]]の正体に迫る新たな観測機器。
[103]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7 号機(HTV7)【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issstream.tks[...]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18-09-05
[104] 뉴스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こうのとり」8 号機(HTV8)【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issstream.tks[...] JAXA 2019-08-30
[105] 웹사이트 “「こうのとり」8号機の主な搭載品” https://iss.jaxa.jp/[...] JAXA 2019-08-09
[106] 웹사이트 "「こうのとり」9号機ミッションプレスキット" http://issstream.tks[...]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広報・情報センター 2020-03-24
[107] 웹사이트 宇宙開発戦略本部決定 宇宙基本計画工程表(平成27年度改訂)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15-12-12
[108] 웹사이트 技術論文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HTV)の開発 https://www.mhi.co.j[...] 三菱重工業 2018-10-07
[109] 웹사이트 コロナ禍で見直される「後方支援」の重要性 https://www.mitsubis[...] 三菱電機Biz Timeline 2022-05-28
[110] 웹사이트 宇宙開発に関する重要な研究開発の評価 HTV1プロジェクトの事後評価結果 (案) https://www.mext.go.[...] 宇宙開発委員会 推進部会 2011-02-12
[111] 웹사이트 平成18年版 文部科学白書 第2部 第6章 第3節 5.宇宙・航空分野 第3節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1-02-12
[112] 웹사이트 NASA声明、HTVの購入を否定 http://www.sorae.jp/[...] sorae.jp 2018-10-16
[113] 웹사이트 "「日本の宇宙船購入」報道 NASAが声明で全面否定" https://news.livedoo[...] J-CAST뉴스 2018-10-16
[114] 문서 例えばHTV-1の非与圧部にはNASAのHREPが積載された。
[115] 간행물 世界初 JAXAが開発中の宇宙ステーション用補給機へLED照明の採用が決定 壊れにくく、長寿命、高品質のLED照明技術が評価されました http://panasonic-den[...] パナソニック電工 2008-11-05
[116] 서적 IHI航空宇宙50年の歩み IHI 2007-06
[117] 웹사이트 平成20事業年度事業報告書(平成20年4月1日〜平成21年3月31日) https://www.jaxa.jp/[...] JAXA 2010-12-25
[118] 웹사이트 平成21事業年度事業報告書(平成21年4月1日〜平成22年3月31日) https://www.jaxa.jp/[...] JAXA 2010-12-25
[119] 문서 https://www.mext.go.[...]
[120] 문서 https://www.mext.go.[...]
[121] 웹사이트 報道発表 科学技術への顕著な貢献 2009(ナイスステップな研究者) http://www.nistep.go[...] 科学技術・学術政策研究所 2018-11-09
[122] 웹사이트 JAXA's No.031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123] 웹사이트 H-IIBロケット試験機プロジェクトに係る事後評価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宇宙開発委員会 2018-10-09
[124] 웹사이트 顕彰事業 日本産業技術大賞 過去の受賞 第31回~第40回 https://corp.nikkan.[...] 日刊工業新聞社 2018-10-09
[125] 웹사이트 JAXA's No.032 https://fanfun.jaxa.[...] JAXA 2018-11-08
[126] 웹사이트 "「HTV/H-ⅡBロケットの開発」が、第39回日本産業技術大賞 文部科学大臣賞を受賞" https://www.khi.co.j[...] 川崎重工業 2018-11-09
[127] 웹사이트 JAXA's No.038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128] 웹사이트 JAXA's No.039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129] 웹사이트 第22回電波功績賞表彰式が開催されました https://arib.or.jp/i[...] 一般社団法人電波産業会 2018-11-09
[130] 웹사이트 HTV-X(仮称)の開発(案)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JAXA 2015-08-25
[131] 웹사이트 こうのとり:H2Bロケットで打ち上げ成功 JAXA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8-10-16
[132] 웹사이트 宇宙開発戦略本部決定 宇宙基本計画工程表(平成27年度改訂)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15-12-12
[133] 웹사이트 宇宙開発利用部会(第22回) 配付資料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研究開発局 2015-08-02
[134] 웹사이트 2016年〜2020年のISS共通システム運用経費(次期CSOC)の我が国の負担方法の在り方について 文部科学省研究開発局 2015-05-30
[135] Youtube HTV搭載小型回収カプセル https://iss.jaxa.jp/[...]
[136] Youtube 筑波宇宙センターにおける小型回収カプセル技術実証 カプセル本体等の記者公開について https://iss.jaxa.jp/[...] JAXA 2018-11-27
[137] 웹사이트 宇宙輸送系の現状と展望 http://laplace.ele.k[...]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JAXA)将来宇宙輸送系研究センター 2018-10-16
[138] 웹사이트 Preliminary Study for Manned Spacecraft with Escape System and H-IIB Rocket http://archive.ists.[...] 26th ISTS 2010-12-25
[139] 웹사이트 独立行政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の平成22年度の業務運営に関する計画(年度計画) https://www.jaxa.jp/[...] 2015-08-26
[140] 논문 回収機能付加型HTV(HTV-R)の研究
[141] 웹사이트 宇宙ステーション補給機への回収機能の付加(HTV-R) https://www8.cao.go.[...] 2015-08-26
[142] 웹사이트 第57回宇宙科学技術連合講演会 http://togetter.com/[...] Togetter 2013-10-26
[143] 웹사이트 Concept Study of HTV-R (HTV-Return) http://archive.ists.[...] JAXA 2015-05-24
[144] 웹사이트 公募型技術提案方式 http://stage.tksc.ja[...] 2015-08-26
[145] 웹사이트 契約相手方の選定結果の公示 HTV搭載小型回収カプセルの開発 http://stage.tksc.ja[...] JAXA 2018-10-16
[146] 웹사이트 回収技術獲得に向けた模擬小型回収カプセルによる高空落下試験の結果について http://iss.jaxa.jp/t[...] JAXA 2015-12-14
[147] 웹사이트 JAXA、「こうのとり」の回収カプセルに向けた高空落下試験を実施 https://sorae.info/0[...] sorae.jp 2015-12-14
[148] 웹사이트 筑波宇宙センターにおける小型回収カプセル技術実証 カプセル本体等の記者公開について https://iss.jaxa.jp/[...] JAXA 宇宙ステーション・きぼう 広報・情報センター 2020-06-25
[149] 웹사이트 JAXA's 008 https://fanfun.jaxa.[...] JAXA 2018-11-09
[150] 웹사이트 日本独自の有人宇宙船構想 http://giken.tksc.na[...] 宇宙開発事業団先端ミッション研究センター 2015-08-26
[151] 서적 国産ロケットH-II宇宙への挑戦 最先端技術にかけた男たちの夢 徳間書店 1994-04-30
[152] 뉴스 NASA, 우주왕복선 후계기 日HTV 구입 검토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